J's Study log

꿈의 기술을 개발하는 기업, 뉴럴링크(Neuralink) Update 2020.8.28 본문

Board

꿈의 기술을 개발하는 기업, 뉴럴링크(Neuralink) Update 2020.8.28

정우섭 2020. 8. 30. 17:57

일런 머스크가 설계하는 미래 중 하나인 뉴럴링크가 드디어 2020년 개발현황에 대한 설명회를 열었다.

 

www.youtube.com/watch?v=DVvmgjBL74w

2020.08.28 열린 설명회

 

뉴럴링크는 이번 설명회를 통해 필요한 다양한 분야의 인재들을 모으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

 

창립자이자 회장인 일런 머스크(Elon Musk)는 현재 뉴럴링크에는 100명이 안되는 직원이 일을 하고있지만, 추후에는 직원 수가 약 1만여명 정도로 늘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영상의 22:20 <실제 프리젠테이션 이미지 中>

 

지난 2019년 발표로부터 1년간 이식용 칩의 모습 또한 달라졌다.

 

LINK V0.9 의 실제 모습

 

LINK V0.9 라고 불리는 이 칩은 동전의 모습으로 사진과 같이 두개골을 파내어 그 자리를 대체하는 형식으로 이식을 진행한다.

 

이식된 칩의 모습

이식된 칩은 이전과 달리 불과 몇 센치가 채 되지않는 와이어로 뇌와 연결된다.

 

뼈를 대신해 심어진 칩은 외부에서는 칩이 보이지도 않기 때문에 보기에는 더욱 좋다.

 

칩 이식용 로봇

 

또한 뼈를 깎아낸다고 하지만 간단한 시술정도로 이식이 가능하다.

 

 

사진에서 나와있듯이 뉴럴링크는 다음 세가지 사항을 지향한다.

 

한명의 사람이 링크를 받게되는데는 한시간이 안걸리고,

시술 후 병원에 더 머물 필요가 없고,

일반적인 마취가 필요없이 마무리 될 수 있도록 만들고있다.

 

 

 

이외에도 칩을 인간과 생물학적으로 매우 비슷한 돼지를 대상으로 이식시켜 여러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고하며, 실험 중인 세 마리의 돼지를 선보였다.

 

Joyce (아직 칩 이식이 되지않은 돼지)

Dorothy (얼마 전까지 칩을 이식하고있다가 현재는 제거한 돼지)

Gertrude (현재 칩을 이식 해놓은 돼지)

 

 

칩을 이식 해놓은 Gertrude와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뇌파

 

위 사진에 보이는 뇌파는 돼지가 코로 받는 냄새자극 등을 읽어내고 있다.

 

 

이와 같이 칩을 이식한 돼지가 러닝머신을 사용할 때의 관절의 움직임에 따른 뇌파의 변화를 읽어내는 'pig on the treadmill' 영상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많은 이들이 궁금해 할 많은 질문들의 대답을 twitter를 통해 실시간으로 받아보았다.

(현재 코로나 사태로 인해 영상에서 보이듯 많은 사람이 모이지 못했기 때문이다.)

 

필자가 흥미롭게 본 질문들은 다음과 같다.

 

 

(기술이 완성되면) 테슬라를 텔레파시로 호출하는게 가능한가요?

기기의 보안문제는 괜찮나요?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나요?

 

테슬라를 텔레파시로 호출하는게 가능한가요?

당연하게도 그렇다고 한다.ㅋㅋㅋ

 

기기의 보안문제는 괜찮나요?

보안문제는 뉴럴링크에서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사항이기도 함을 강조하며 설명했다.

 

기기를 하드웨어부터 소프트웨어까지 뉴럴링크에서 만들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보안문제를 해결하게끔 노력하고있다.

 

예를 들어 신호도 암호화를 하고 인증을 거치게 만드는 등의 소프트웨어적 보안이 있고.

 

하드웨어적으로는 외부에서 간섭가능한 정도를 매우 낮게 설계하는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한다.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나요?

칩개발에는 low-level 프로그래밍에는 verilog를 대부분 사용한다.

 

Register transfer level와 같은 작업이 대표적이다.

 

상위언어로는 C, C++, Python 등을 사용한다.

 

자랑스러운 한국인인 뉴럴링크 창립멤버이자 칩 제작을 담당하는, DJ(서동진)님은 어떤 언어가 중요한게 아니고 시스템의 원리를 이해하고 있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프리젠테이션을 통해 많은 인재들이 뉴럴링크로 모일 것을 예상되는데, 이제부터 시작이라는 느낌이다.

 

칩이 완성된다면 아이폰이 처음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을 때보다 더 큰 파장을 일으킬 것을 확신한다.

 

머스크가 말하듯 기본적으로 여러 장애를 근본적으로 극복 가능할 것이고, 더 나아가서는 인류의 인공적인 진화를 이루는 발판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Comments